[주택경제신문 DB]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6·27 대출 규제로 거래가 위축된 듯 보였지만, 8월 들어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늘고 신고가까지 쏟아졌다. 규제가 시장의 숨통을 조이기보다 되레 ‘막차 수요’를 자극하는 모양새다.

◆ 서울 아파트 거래량 반등

국토교통부와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017건으로 집계됐다. 7월(3945건)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지만, 신고 마감일까지는 10일 이상 남아 있어 최종 거래량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성동구는 전달 대비 93% 급증하며 가장 큰 폭의 반등을 보였고, 성북(67%), 강동(65%), 마포(44%) 등이 뒤를 이었다. 강북·동북권에서의 회복세도 눈에 띈다.

다만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와 양천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여파로 거래가 위축됐다. 강남구는 한 달 새 거래가 70% 가까이 줄어든 96건에 그쳤다.

◆ 신고가 행렬…강남 아닌 ‘성동·마포·강동’

가격 흐름은 더 뚜렷하다.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전용 59㎡는 19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고,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84㎡도 26억원에 손바뀜했다. 성동구 옥수동 e편한세상옥수파크힐스 역시 23억원에 거래되며 직전 고점을 뛰어넘었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를 두고 “강남은 규제로 묶였지만, 토허구역 지정 전 갭투자가 가능한 한강벨트 아파트에 매수세가 몰렸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 현금부자만의 게임판

서울 아파트값은 33주째 오름세다. 9월 셋째 주 기준 상승률은 0.12%로 전주보다 확대됐다. 특히 성동구(0.41%)와 마포구(0.28%) 등 한강벨트 지역의 오름폭이 컸다.

김광석 리얼하우스 대표는 “현금 자산가와 중산층의 시장 분리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대출 규제로 중산층 수요가 이탈하는 반면, 현금 보유층은 신고가 매수에 나서면서 거래량은 줄지만 가격은 오히려 뛰는 구조가 굳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공급 대책, 단기 효과 제한적

정부는 9·7 주택공급 확대안을 통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가구를 짓겠다고 했지만, 실제 공급이 시장에 풀리기까지는 수년이 걸린다. 당장 시장 참여자들이 체감하는 건 규제 강화와 매물 부족뿐이다.

김 대표는 “공급책은 장기적 해법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수요 분산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결국 강남 접근성이 좋고 학군 수요가 두터운 한강벨트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