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7만5000가구… 10년 만에 최대
신동훈
승인
2023.02.28 13:59
의견
0
[주택경제신문]
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10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5359가구로 전달(6만8148가구)보다 10.6% 증가했다.
2012년 11월(7만6319가구) 이후 10년 2개월 만의 최대치다.
다만, 증가 폭은 다소 둔화했다. 지난해 11∼12월 두 달간 1만 가구씩 증가했으나 1월엔 7211가구 늘었다.
미분양 물량의 84%는 지방에 집중돼 있다. 지난달 수도권 미분양은 1만2257가구로 10.7%(1181가구) 늘었고 지방은 6만3102가구로 10.6%(6030가구) 증가했다.
지방의 미분양만 합해도 정부가 밝힌 ‘미분양 위험선’ 6만2000가구를 넘어섰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전달보다 25.9% 증가한 8926가구였고 전용 85㎡ 이하 미분양은 6만6433가구로 전월 대비 8.8% 늘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546가구로 전월보다 0.4%(28가구) 증가했다.
정부는 현재 미분양 상황에 대해 정부가 개입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1월 미분양이 늘어난 지역은 외곽이거나,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높았던 곳으로 보고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준공후 미분양은 한 달 간 28호 증가한 수준이고, 지난해 미분양이 급증한 대구에서도 1월 미분양은 120호 증가했다"며 "현재 상황만으로 미분양이 심각하다고 속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준공 후 미분양도 장기 평균의 4분의 1 수준이라 정부가 개입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건설업계가 요구하는 미분양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택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