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는 생성형 AI ChatGPT5o를 통해 생성한 ‘모듈러 주택’
정부가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공기 단축과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모듈러 주택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관련 기술과 설비를 선도해 온 대형 건설사들이 수혜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 드라이브가 본격화되면 국내 모듈러 주택 시장의 판도가 크게 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7일 발표한 공급 확대 방안에서 수도권 내 신속한 주택 공급을 위해 탈현장건설(OSC·Off-Site Construction) 방식을 적극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주택을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모듈러 공법은 기존 철근콘크리트(RC) 대비 공사 기간을 최대 50% 단축할 수 있고, 안전사고 위험과 소음·분진 발생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단순한 공급 속도 제고를 넘어 건설 안전 강화와도 맞물려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한계도 분명하다. 대규모 제작 공장 등 초기 투자비 부담이 크고, 공정이 표준화돼야 하는 만큼 설계 자유도가 낮아 디자인 다양성 확보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아직은 기존 RC 공법 대비 공사비가 높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GS건설은 국내에서 가장 앞서 모듈러 주택 공장과 시공 경험을 축적해 왔다. 여기에 현대건설도 ‘스마트 모듈러’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삼성물산 역시 프리패브·OSC를 아파트 사업에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철강 계열사와 협업해 모듈러 전용 자재 개발을 추진하는 등 대형사들의 경쟁 구도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정부의 정책 신호와 대형 건설사들의 기술 투자가 맞물리면, 모듈러 주택은 공공주택을 넘어 민간시장에서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며 “다만 공사비 절감, 디자인 다양성 확보 등 단점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확산 속도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모듈러는 분명 장점이 많지만, 아직 국내에선 대규모 아파트 단지보다는 소규모 공공주택이나 임대주택 위주로 적용되는 단계”라며 “정부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업계가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